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JsonType
- 포맷터
- AOP target
- Starter
- fotmatter
- AOP 매개변수
- gradle
- AOP
- auto configuration
- Save Action
- LogInterceptor
- RestTemplate
- 개방/폐쇄 원칙
- AccessLevel
- ClientHttpRequestInterceptor
- findAny
- java
- vaultTemplate
- spring
- jpa
- ResponseBodyAdvice
- JsonStringType
- restTemple
- @AutoConfiguration
- Stream
- 쓰레드 안전
- Thread Safety
- AOP this
- findFirst
- Spring Boot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LSP (1)
맨땅에 헤딩하는 개바른자
리스코프 치환 원칙 (LSP) Liskov substitytion principle
클래스 상속과 인터페이스 구현을 올바르게 사용하도록 도와준다. “형식”과 “하위형식" 이라는 용어가 있다고 한다면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이루었다는 걸 유추 할 수 있다. 자식은 부모를 상속하거나 구현할 수 있으며 부모의 기능을 그대로 물려 받는 행동을 유지해야한다고 가정하면 이해가 쉬우려나?… 아무튼 부족한 짱구로 글로 이해하려니 쉽지가 않다 간단하게 말하면 부모의 Type의 기능은 자식 타입에서 유지가 되고 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. 이해한 기반으로 코드로 설명해보겠습니다. Child라는 상속클래스에는 "String 나는_X째_입니다();" 하는 메소드가 정의되어있고 각 하위 클래스 FirstChild, SecondChild에는 extends Child를 상속하여 구현되어있다. ThirdChild는 ..
JAVA
2022. 5. 26. 19:5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