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/AOP
[AOP] @target @within
앵낄낄
2023. 3. 23. 20:51
반응형
많이 쓰이지 않은 기능이지만 알고있으면 좋은 내용이다.
AOP로 포인트컷을 활용할 때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.
- target은 인스턴스의 모든 메서드를 조인 포인트로 동작한다.
- target은 부모의 메소드까지 적용
- within은 해당 타입 내에 있는 메서드만 조인 포인트로 동작한다.
- 자식본인의 메서도만 허용
interface Parent {
parentMethod();
}
@ClassAop
class Child implements Parent {
childMethod();
}
// @target : 인스턴스 기준으로 모든 메서드의 조인 포인트를 선정, 부모 타입의 메서드도 적용
// Parent.parentMethod() 감지 O
// Child.childMethod() 감지 O
@Around("excution(* hello.aop..*(..)) && @target(hello.aop.member.annotation.ClassAop)")
public Object atTarget(ProceedingJoinPoint joinPoint) throws Throwable {
log.info("[@target] {}", joinPoint.getSignature());
}
// @within : 선택된 클래스 내부에 있는 메서드만 조인 포인트로 선정, 부모 타입의 메서드는 적용되지 않음
// Parent.parentMethod() 감지 X
// Child.childMethod() 감지 O
@Around("excution(* hello.aop..*(..)) && @within(hello.aop.member.annotation.ClassAop)")
public Object atTarget(ProceedingJoinPoint joinPoint) throws Throwable {
log.info("[@target] {}", joinPoint.getSignature());
}
주의
- 다음 포인트컷 지시자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.
- args, @args, @target
- 실행 시점에 일어나는 포인트컷 적용여부도 결국 프록시가 있어야 실행 시점에 판단할 수 있어서 프록시가 없다면 판단 자체가 불가능하다.
- 더쉽게 풀어보자면 args, @args, @target 경우는 실행시점에 잡히는것이 아닌 Runtime시에 동작하는 애들이다. 즉 프록시배경에서 놀아야하고, 실행시점이아닌 Runtime시점에서 노는애들이다.
- 프록시는 excution으로 잡는다. 이후 args, @args, @target 같은애들이 논다
- 그러기위해서는 args, @args, @target 단독으로사용하면 프록시가 생성되지 않아서 기동시 오류가 발생된다.
반응형